□ 인플레이션은 개별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과는 다르다. 개별 재화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아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말한다.
□ 그레셤의 법칙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는 뜻으로, 가치가 낮은 것이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냄을 말한다.□ 필립스 곡선
실업률과 화폐임금상승률 사이에는 매우 안정적인 함수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모델로서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Phillips, A. W.)에 의해 발표된 것이다. 즉 인플레이션의 요인에 대한 수요견인설(demand-pull theory)과 비용인상설(cost-push theory) 사이에 열띤 논쟁이 계속되고 있을 때 필립스는 영국의 경제통계로부터 화폐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에는 역의 함수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원래는 화폐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관계로 표시되지만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관계로 표시되기도 한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업률이 낮을수록 화폐임금상승률 또는 물가상승률이 높으며, 반대로 화폐임금상승률이 낮을수록 실업률은 높다.
※ 수요견인설
※ 비용인상설
□ 디플레이션 vs 디스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경제학에 있어서는 통화공급과 신용의 수축으로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하락현상
디플레이션은 보통 물가수준의 하락 뿐만이 아니라 생산의 감소와 실업의 증가가 수반되며 경기순환의 하강국면과 관련된다. 디플레이션의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모든 경제학자들의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은행신용의 급격한 수축과 총지출의 부족이 물가수준의 하락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다.
* 디스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통화증발을 억제하고 재정 ·금융긴축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조정정책
인플레이션에 의하여 통화가 팽창하여 물가가 상승할 때, 그 시점에 있어서의 통화량 ·물가수준을 유지한 채 안정을 도모하여 서서히 인플레이션을 수습하려는 경제정책을 말한다. 디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 수습대책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있지만, 디스인플레이션의 경우는 상승한 물가를 원래의 수준으로 인하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물가를 인하하면 생산수준이 저하되어 실업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 미끄러운 경사면의 오류(Fallacy of Slippery slope)
= 도미노의 오류, 연쇄반응 효과의 오류라고도 함.□ 레이거노믹스
미국 제40대 대통령 레이건에 의하여 추진된 경제정책
- 시카고학파가 주장해 온 자유경쟁시장 메커니즘으로의 복귀
- 생산(공급)과 소비(수요)의 자동조정기능을 살린다는 공급경제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함
- 단기적 자극보다는 근본적인 활력을 위해 세출 삭감, 소득세 감세,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 고금리 정책 추진 등 : 민간투자 촉진, 미국경제 활성화
- 그러나 제3세계의 희생, 빈부격차 심화
- 신자유주의를 표방하였으나 사상 최대의 군비증강과 모순된 점
- 재정적자 급증의 원인이라는 지적
□ 화폐 수량설
화폐공급량의 증감이 물가수준의 등락을 정비례적으로 변화시킨다고 하는 경제이론□ 글로벌 저축과잉 (global saving glut)
- FRB(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벤 버냉키 주장
- 중국이 자본 투자 규모를 축소
- 인구 고령화로 인해 대부분의 선진국 경제가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모드로 전환
→ 자본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금리는 하락
□ 구조적 장기침체 (secular stagnation)
경기침체와 소득불평등 심화로 세계 경제가 만성적 수요부진에 빠진 상태.□ 금융 억압(Financial Repression)
금융시장이 자유로웠다면 다른 곳에 쓰였을 자금이 정부정책에 의해 쓰임이 제한되는 상황을 이르는 말□ 본원통화 (reserve base)
중앙은행이 지폐 및 동전 등 화폐발행의 독점적 권한을 통하여 공급한 통화. 화폐발행액과 예금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지급준비금의 합계로 측정
본원통화(RB)
= 화폐발행액 + 금융기관 지급준비예치금
= 민간보유현금 + 금융기관 시재금 + 지준예치금
= 민간보유현금 + 금융기관 총지급준비금
|
□ 케인즈 주의
- 방임주의의 실패로 인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개발(좌파 경제학 이론으로 분류)
- 거시경제적 흐름이 개인들의 미시적 행동을 압도할 수 있다고 봄
- 통화정책 : 금리 인하
- 재정정책 : 정부의 인프라 투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